BOM 이해/BOM 소개

자재명세서 BOM 이란, 뜻 의미 종류

NDoLab 2025. 2. 8. 23:17

도남철, "BOM 이해와 실습 [개정판]", 퍼플, 서울, 2019.
*이 책은 Publish On Demand 형식으로 출판되므로
인터넷 교보문고에서만 주문할 수 있습니다.
미리보기구매 >
책소개 >  


"BOM 이해" 동영상 강의
Youtube Playlist 'BOM 이해' 강의 듣기 >
'BOM 이해' 강의 계획 읽어보기 >

BOM 이란 "특정 제품을 만드는데 필요한 자재나 부품의 종류와 수량을 나열한 목록"이다. 수요 자재 목록으로도 불리는 BOM은 제품과 제조 정보화가 진행됨에 따라 아이템 리스트, BOM 계층, 제품구조, 제품 구성 등 디지털화된 BOM 개념이 사용되고 있다.

BOM의 구조를 보여주는 간단 예로 최종 제품(010), 중간 조립품(030) 그리고 부품(020,040,050)으로 구성되어 있다.

Engineering BOM(E-BOM)은 설계 과정에서 생성한 BOM이다. 주로 기능별로 계층화된 형태로 되어 있으며, CAD 모델을 포함한 기술문서를 통합 관리하여 설계 참가자 간의 공유와 협동 작업을 위하여 사용된다. E-BOM은 생산과 고객 지원 등의 다른 BOM의 근간이 된다. 그러므로 E-BOM은 설계변경 관리를 통해 BOM의 일관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E-BOM의 중요 역할 중 하나는 제품 설계 정보의 통합관리이다. 이 기능을 포괄적으로 지원하는 정보 시스템이 Product Lifecycle Management(PLM) 시스템이다. 사진은 상용 PLM 시스템인Dassualt Systemes의 3DEXPERIENCE 플랫폼의 Enovia PLM에서 설계 BOM(E-BOM)을 관리하는 화면이다.

 

Manufacturing BOM(M-BOM)은 생산 과정을 고려한 BOM으로써 E-BOM과 달리 공정과 공정의 결과인 중간재를 표현하는 계층으로 이루어졌다. M-BOM은 Material Requirement Planning 과정을 거쳐 필요 자재와 생산 용량을 계산할 수 있다.

E-BOM과 M-BOM의 차이를 보여주는 예다. 그림에서 M-BOM은 로봇 자동 조립 공정을 표현하기 위한 BOM으로 로봇이 작업하는 조립 순서를 표현하고 있다. 이와 같이 디지털 BOM은 컴퓨터를 통해 BOM을 표현하는 것 뿐만 아니라 기계(로봇)가 이해할 수 있도록 객관적이고 구체적으로 BOM을 표현하는 방식을 뜻한다("설계 BOM과 생산 BOM은 어떻게 구별할까" 참조).

Process BOM 은 Bill of Process(BOP)라고도 불리며, M-BOM에 공정을 표현하는 Process를 추가하여 재료와 부품 정보에 공정 정보까지 같이 표현한 BOM이다. Process BOM에서는 상위 제품을 만들기 위한 공정과 공정에 필요한 부품이 하위 부품으로 같이 연결되어 있다. Process BOM을 이용하면 자재비와 노무비(공정비)를 합한 제품 비용을 계산할 수 있다.

Process BOM은 기존 재료와 아이템 중심의 BOM에 원으로 그려진 작업(Process) 객체를 추가하여 공정비를 계산할 수 있다.
 

Green BOM 은 최근에는 제품의 환경에 대한 영향을 평가하는 전주기 평가(Life Cycle Assessment: LCA)에 필요한 탄소 배출량이나 유해 물질 정보를 포함시킨 BOM이다.

 

통합 BOM 혹은 단일 BOM은 EBOM, MBOM 그리고 CSBOM 등 기업 내 다양한 BOM을 통합 운영하는 BOM 시스템이다. 이를 지원하기 위하여 제품 관점(Product View)과 제품 관점 간 일관성을 유지하는 설계변경 전달(Propagation of Engineering Changes)을 이용할 수 있다.

 

Option BOM 혹은 Modular BOM 은 대량 맞춤 생산을 지원하기 위하여 미리 정해진 방식으로 조합될 대량 생산 모듈을 정의하는 데 사용한다. 이를 지원하기 위하여 제품 구성(Product Configuration) 개념이 사용된다.

Option BOM으로 구현되는 제품구성 예, 예에서 모듈이 옵션이며 옵션의 조합으로 고객에게 전달되는 최종 제품인 제품구성을 생성할 수 있다. 이 제품구성 모델의 경우 트랙 로버봇과 바퀴형 로버봇 두가지 제품구성이 존재한다.

Phantom 부품은 생산은 되나 재고 관리를 하지 않는 부품을 뜻하며, 공정 중에 잠시 생성되는 부품을 주로 표시한다. 예로 엔진과 변속기가 생산 공정 중에 엔진 변속기 조립품으로 조합되어 자동차에 조립된다면, 엔진 변속기 조립품은 Phantom 부품이 된다. 즉, 엔진 변속기 조립품은 배치로 생산되거나 재고로 관리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Phantom 부품은 MRP(Material Requirement Planning)에서 계획되지 않고 통과하여 Phantom의 하위 부품을 계획하게 된다. 또한 Phantom 부품의 Lead time은 0 값을 가진다. Phantom BOM은 Transient BOM으로도 불린다.

 

Pseudo 부품은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가상 부품이며, 조립되거나 연결되지 않는 부품의 모임을 표현할 수 있다. 그러므로 Pseudo 부품은 조립되어 재고로 관리될 수 없다. 대표적인 예로 제품 구성(Product Configuration)에서 서로 조립되지는 않지만 모든 제품 구성에 사용되는 부품을 모아 놓은 공통 모듈(Common Option)을 표현하기 위해 Pseudo 부품을 사용할 수 있다.

 

Planning BOM 은 Option BOM 을 활용하여 기획, 판매 그리고 마케팅 등 거시적 수준에서 계획을 할 때 사용되며 Super BOM, Percentage BOM 등으로 불린다. 거시적 수준이므로 최종 대상이 모델이나 제품군이며, 모델이나 제품군 아래 제품 구성을 위한 모듈(혹은 같은 종류의 모듈의 집합인 피처[Feature])의 비율 등으로 제품구조가 연결되어 있다. 그러므로 Planning BOM은 각 모듈에 대한 주 생산 일정 계획(Master Production Schedule)이나 예측(Forecasting)에 사용된다. 반면, Planning BOM이라는 용어를 고객 요구 사항, 요구기능 그리고 주요 구성 부품 등을 관리하는 설계 이전 초기 BOM을 지칭하는 데 사용하기도 한다. 이는 앞에 언급한 Planning BOM과 직접적 관계는 없다.

 

Generic BOM 은 주문형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관리하는 BOM으로 모델이나 제품군별로 일반적인 소요 부품과 공정을 이용하여 BOM을 구성해 놓는다. 견적이 들어오면 어떤 모델이나 제품군에 속하는지 결정한 다음, Generic BOM을 이용하여 비용과 시간을 예측하여 대응한다. 본 주문이 들어올 경우 Generic BOM을 복사하여 설계와 생산을 위한 BOM을 생성하여 사용하게 된다. Generic BOM에서 기준이 되는 (복사되는) BOM을 Source BOM이라고 하고 복사되어 주문에 대응되어 변경되는 BOM을 Result BOM이라고 부른다.

 

단일 계층 혹은 단일 수준 BOM(다계층 다수준 BOM과 대비)은 BOM 계층이 1개로 최종 제품과 구매 자재만으로 구성된 BOM을 뜻한다. BOM 계층이란 제품(최종 혹은 중간 조립품)과 제품에 직접 조립되는(구성되는) 부품의 관계로 이루어진 집합을 뜻한다. 이러한 BOM 계층이 재귀적으로 중첩된 BOM이 다계층 혹은 다수준 BOM이다.

 

들여쓰기 BOM (Indented BOM) BOM 계층을 표시하기 위하여 한 아이템의 하위 아이템을 1단계 들여쓰기 형식으로 표현한 BOM이다. 들여 쓰기로 표시하지 않고 부품을 표시하는 한 줄의 시작 부분에 계층 번호로 BOM 계층을 표시할 수도 있다.

 

Inverted BOM 은 원유 정제나 제철 등 공정 산업에서 볼 수 있는 BOM으로 일반적인 BOM의 Tree 형태(정확히는 Network 구조)의 반대 형태(뿌리 형태)의 모양을 보인다. 이유는 단순한 재료(예로 원유나 코크스)에서 다양한 제품을 생산하므로 BOM 하부 재료 쪽은 종류가 적고 최종 제품인 BOM 상부의 아이템 수가 많아지는 역 Tree 형태의 BOM이 생성된다.

 

FTA 원산지 판명에서 BOM은 수출입 시 원산지 판명을 위해 사용하는 제품의 소요부품 명세이다. 원산지 판명을 위한 BOM은 단일 계층 BOM으로서, 완제품을 구성하는 모든 원재료와 이들의 HS Code, 소요량, 단가 그리고 원산지 속성을 포함한다. FTA 원산지 판명에서 BOM은 원산지증명서 발급에 필수 자료이다.

관련 글

FTA BOM 작성 방법 https://blog.naver.com/moonpen/222650930871

 

2025-2017 NDoLab

2025/7/7 처음 2017/7/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