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오랜 기간 동안 BOM을 경험적으로 학습한 경우
'BOM 이해' 서문에서 주장했듯이, 우리나라에는 아직까지 BOM에 대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책이나 교육 과정이 부족하다. 이로 인해서 기업의 BOM 지식은 직원들이 오랫동안 현장에서 습득한 개인적 경험에 의존하고 있다.
신입 사원은 BOM에 대한 사전 이해가 없이 업무를 진행하면서 관련 지식들을 익히게 된다. 이 과정은 주로 자신의 업무에 관련된 BOM의 일부분을 경험하게 되어, 도리어 BOM의 다른 측면을 고려한 타 부서와의 충돌을 야기하기도 한다. 만일 해당 사원이 한 부분에서 일을 하게 된다면 BOM에 대한 기업의 다른 부분을 간접적으로 이해하게 되지만 (예로 설계변경 회의 등을 통해), 단편적이고 표면적인 이해만이 이루진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해당 사원은 BOM이 기업의 기준 정보를 제공하는 중요한 요소임을 깨닫게 된다. 하지만 기업 전체적 관점에서 BOM의 연관관계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부서의 BOM 관련 근무와 BOM에 대한 관심과 공부가 필요하다. 또한 이 단계에 오르기 위해서 개인적으로 자료를 모으고 체계화하는데 꽤 긴 시간이 필요하다.
입사 초기에 통합 BOM 지식을 습득한 경우
신입 사원에 대하여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BOM 교육을 제공하는 경우를 생각해 보자. 이 경우 BOM 교육은 BOM의 목적, BOM의 구성 요소, 기본적인 BOM 응용, 설계변경과 BOM, 제품수명주기(설계, 생산 그리고 고객지원 단계)에서 BOM의 생성과 역할 그리고 수명주기 동안 생성되는 설계, 생산 그리고 고객지원 BOM이 어떻게 상호 연관되고 일관성을 유지하는지(통합 BOM 이슈) 등을 제공한다. 이 과정에서 꼭 현재 회사의 제품이나 BOM을 다룰 필요는 없다.
통합 BOM 지식을 갖춘 신입 사원은 자신의 맡은 업무에서 BOM에 연관된 부분이 나타날 경우, 이 내용이 통합 BOM이나 제품수명주기 상에서 어떤 부분인지 인식하고, 다른 부분과의 관계를 고려하는 관점을 통해 업무를 처리할 수 있다. 해당 사원이 전보하여 다른 업무를 맡은 경우(예로 생산 부서에서 고객 지원 부서로 전보할 경우)에도 BOM 측면에서 새로운 업무가 이전 업무와 어떻게 연관될지에 대한 큰 그림을 그릴 수 있다.
시간이 지나 해당 사원이 승진을 하고 보다 넓은 범위의 업무를 처리하는 과정에서도 BOM 지식 측면에서 큰 뼈대를 확보하고 있으므로, 전체적 관점을 유지하면서 보다 깊은 BOM 지식과 상호 관계를 고려한 넓은 범위의 영향을 고려할 수 있게 된다. 만일 적절한 지식 관리 체계가 있다면 이 지식들은 기본 BOM 체계에 맞추어 정리되어, BOM 관련 고급 교육 프로그램으로 후배 사원들에게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입사 초기에 BOM에 대한 종합적인 교육이 전체적으로 이루어진다면, BOM에 대한 종합적 체계를 제공하여,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BOM 지식 습득이 가능하고, 구성원의 기업의 다른 부분을 고려한 통합적 BOM 관점 유지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누릴 수 있을 것이다.
만일 당신이 유능한 HR 담당자라면
만일 당신이 제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의 인력 개발 담당자라면 신입 사원 교육에 자사 제품에 대한 BOM 교육을 포함시켜야 한다. 이 교육에는 일반적인 BOM에 대한 내용에 더해 자사 제품의 특성에 맞는 BOM 내용을 포함해야 한다. 비록 신입 사원이 인력 개발 담당자(물리적 제품 개발이나 생산과 직접적으로 관련 없는 직무)라고 할지라도 앞으로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인력 관리를 위해 자사 제품과 서비스에 대한 구조와 특성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처음에 회사에 들어왔을 때 눈앞에 회사가 생산하는 제품이나 서비스의 전체 구조와 내용이 펼쳐진다면 이를 지도와 계기로 삼아 휠씬 빨리 유능한 인력으로 성장할 수 있는 있을 것이다.
"임원이라면 전략적 BOM을 이해해야 합니다" 읽어보기 >
2020 NDoLab
1/13/2020 처음 5/1/2022
'BOM 이해 > BOM 소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BOM 이해' 강의 (2) | 2025.05.24 |
---|---|
'BOM 이해' 소개 (2) | 2025.05.24 |
BOM 배우기 어렵다 (3) | 2025.05.24 |
임원이라면 자사를 위한 전략적 BOM 기능을 이해해야 합니다 (0) | 2025.05.08 |
자재명세서 BOM 이란, 뜻 의미 종류 (0) | 2025.02.08 |